본문 바로가기
스크래치

1. 스크래치코딩-들어가기

by flycoding 2021. 8. 3.
반응형

 

스크래치 들어가기…

 

1. 왜 Scratch(스크래치) 인가?

Scratch 단어의 뜻은 ‘긁다’, ‘할퀴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왜 코딩 언어의 이름을 ‘Scratch’라고 붙였을까? 다양하게 정의를 내리지만, 나의 생각에는 스크래치 언어에서 제일 먼저 만나는 스프라이트가 고양이다. 그 많은 동물, 사물 등 중에서 왜 고양이일까? 고양이가 스크래치를 잘 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 왜 스크래치라고 언어의 이름을 지었을까? 라는 질문이 생깁니다.

 

스크래치는 보통 DJ는 음악을 만들지는 않지만 기존의 음악의 좋은 부분을 잘 섞어서 새로운 음악으로 만들어 내는 일을 한다. 이러한 믹싱 작업을 스크래치라고 한다. 기존의 음악을 가지고 와서 혼합하여 새로운 음악을 창조하는 거죠. 이에 착안하여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스크래치는 MIT 미디어 랩에서 만든 교육용 프로그래밍 (Education Programming Language : EPL) 이다. 다양한 블록과 코딩의 결과물들을 혼합하여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과 유사하여 스크래치라고 이름을 지은 것 같다.

대표사진 삭제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래서 스크래치 공식 마스코트는 고양이로 설정한 것이다.

 

2. 온라인 에디터 소개

스크래치는 온라인, 오프라인 에디터가 있다. 온라인 에디터는 인터넷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이 가능하고, 만든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다. 온라인 에디터는 인터넷 주소 http://scratch.mit.edu 사이트 접속하여야 사용할 수 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scratch.mit.edu 주소를 접속한다.

먼저 스크래치 회원 가입을 한다.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을 만들어 가입을 한다. 그리고 로그인을 눌러 가입한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통해 스크래치에 접속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2]

 

로그인하면 그림3과 같은 화면이 나오며, “만들기”를 클릭하면 [그림4] 화면이 나온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3]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4]

 

3. 오프라인 에디터 소개

[그림3] 화면에서 맨 아래로 스크롤하면 [그림5]가 나오며, “유용한 자료들”->[다운로드]를 클릭하여 오프라인 에디터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5]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그림6] 페이지가 나오며,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맞추어 윈도우, 맥, 크롬, 안드로이드 등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면 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6]

 

4. 스크래치 메뉴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7]

 

스크래치 메뉴는 크게 5가지로 분류한다. 첫 번째는 메뉴이다. 메뉴에는 파일, 편집, 튜토리얼로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파일은 작성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불러오는 기능이 있으며, 튜토리얼은 스크래치 코딩 언어 습득에 유익한 샘플 예제들이 있으니 하나씩 따라하면서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두 번째는 블록 팔레트이다. 불록 팔레트는 명령그룹별로 색상이 정해져 있다. 색으로 구분하면 확인 쉽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8]

 

세번 째는 “스크립트 영역”이다. 블록 팔레트에서 다양한 블록을 드래그&드롭하여 내려 놓는 공간이 “스크립트 영역”입니다. 실제로 코딩 블록이 쌓이는 공간입니다.

넷 째는 실행창으로 스크립드 영역에 코딩한 블록이 실행되는 공간입니다. 파란 깃발을 클릭하면 실행이 됩니다.

다섯번 째는 스프라이트 영역입니다. 무대와 스프라이트를 선택하고 상태, 위치, 크기, 방향, 좌표 등을 알 수 있습니다. 나중에 스프라이트 영역과 무대 영역에 대해서는 두번 째 이야기에서 설명을 다시 할거에요. 지금은 “이런 것이 있구나" 하고 넘어가세요…^^

 

5. 간단한 예제 실습

미션1 : 스크래치를 10만큼 움직여보자!!!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명령 팔레트에서 [이벤트]를 클릭하면 “클릭했을 때” 블록이 있다. 항상 시작할 때는 시작하는 위치를 알려주어야 하는데, 스크래치는 “클릭했을 때” 블록이다. 묻지도 말고, 따지지도 말고 무조건 “클랙했을 때” 블록을 명령 창에 드래그&드롭을 한다.

스프라이트는 기본으로 “고양이”가 있다. 고양이를 10만큼 움직여 보자. 움직임은 [동작]에서 찾아보자. [동작] 블록에 처음 블록이 “10만큼 움직이기” 블록이다. 명령창에 드래그&드롭한다. 이 때 “클릭했을 때” 아래에 “10만큼 움직이기” 블록을 갖다 놓으면 된다. 그러면 자석처럼 두개의 블록이 붙는다. 꼭 붙어 있어야 한다.

 

미션2: 무대를 설정해보자

무대를 설정해보자. [배경 고르기]를 선택한다. [그림 9]에서 빨간 색 부분을 클릭하면 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 9]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 10]

[그림9]에서 [배경 고르기]를 클릭하면 [그림 10]이 나온다. 다양한 무대 배경 이미지가 나오는데, 원하는 무대 벼경을 선택한다. 벼경 “Nebula”를 선택하면 [그림 11]처럼 배경이 우주배경으로 변경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11]

 

미션3 : 주인공 바꾸기(스프라이트 변경하기)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12]

 

[그림12]는 스프라이트를 변경하기 위해 “스프라이트 고르기”를 클릭한다. 다양한 스프라이트 중에서 “Dinosour2”를 선택한다. [그림 13]과 같다.] 선택 후에 “뒤로” 버튼을 클릭하면 스크래치 에디터 화면으로 전환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 13]

 

이제 기존의 고양이 스프라이트를 제거해보자. 스프라이트 창에서 고양이 스프라이트를 선택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 14]

 

고양이를 선택하면 바로 우측 상단에 쓰레기통이 보인다. 이를 클릭하면 선택한 스프라이트가 삭제된다.

 

미션4 : 프로젝트 저장하기

어찌보면 소홀히 여기는 기능이지만, “저장”하기 만큼 프로그래머에게 중요한 기능은 없다. 저자도 수일을 밤새면서 작업한 코드를 날려 먹은 적인 한두 번이 아니다. 특히 1980년대 코딩 시절에서는 디스켓에 저장해도 깨지는 등 눈물을 지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너무 TMI). 하여튼 꼭 저장하자!!!

[그림 15]에서와 같이 “파일”에 “컴퓨터에 저장하기”를 클릭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한 위치를 잘 선택하여 저장하며, 파일 이름은 코딩의 내용을 잘 표현하는 이름을 작성하여 꼭 저장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림 15]

 

 

출처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