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SS font-style 속성
font-style 속성은 대부분 기울임꼴 텍스트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속성에는 세 가지 값이 있다:
- normal - 텍스트가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 italic - 텍스트가 기울임꼴로 표시됩니다
- oblique - 텍스트가 "편향"입니다(사선은 기울어짐). 이탤릭체와 비슷하지만 덜 지원됨)
CSS font-weight 속성
font-weight 속성은 글꼴의 가중치를 지정한다:
<!DOCTYPE html> <html> <head> <style> p.normal { font-weight: normal; } p.light { font-weight: lighter; } p.thick { font-weight: bold; } p.thicker { font-weight: 900; } </style> </head> <body> <h1>font-weight 속성</h1> <p class="normal">font-weight normal.</p> <p class="light">font-weight lighter.</p> <p class="thick">font-weight bold.</p> <p class="thicker">font-weight 900.</p> </body> </html> |
CSS font-weight 속성값에 normal, lighter, bold, 900값을 설정하였을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화면에 출력이 된다.
CSS font-varient 속성
font-varient 속성은 텍스트를 작은 대문자로 표시할지 여부를 지정한다.
작은 대문자 글꼴에서는 모든 소문자가 대문자로 변환된다. 그러나 변환된 대문자는 텍스트의 원래 대문자보다 작은 글꼴 크기로 나타난다.
<!DOCTYPE html> <html> <head> <style> p.normal { font-variant: normal; } p.small { font-variant: small-caps; } </style> </head> <body> <h1>font-variant 속성</h1> <p class="normal">font-varient 속성 : normal.</p> <p class="small">font-varient 속성 : small-caps.</p> </body> </html> |
CSS font-varient 속성값에 normal과 small-caps 값을 설정하였을 경우, 출력되는 화면은 아래 그림과 같다.
small-cpas로 설정하면 영문은 대문자로 변환되고 크기는 원래 대문자 크기보다 작게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font-weight와 font-varient 속성값에 대한 개념과 실습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반드시 꼭 실습하기를 추천합니다.
모두 화이팅입니다.!!!
출처 : 이 글의 출처는 w3schools사이트를 참고하였으며 필자가 추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반응형
'HTML > CSS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google fonts (0) | 2023.08.08 |
---|---|
CSS font-size 속성 (0) | 2023.08.07 |
CSS 예비 폰트 (0) | 2023.08.05 |
CSS 웹 안전 폰트 (0) | 2023.08.04 |
CSS font-family (0) | 2023.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