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numpy ufunc 차이(differences)
이산차란 연속되는 두 원소를 뺀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2, 3, 4]의 경우, 이산 차이는 [2-1, 3-2, 4-3] = [1, 1, 1]이 된다
이산형 차이를 찾으려면 diff() 함수를 사용한다.
다음 배열의 이산차를 계산한다:
import numpy as np arr = np.array([10, 15, 25, 5]) print('arr : ', arr) newarr = np.diff(arr) print('newarr = np.diff(arr) : ', newarr) |
[5 10-20] -> 15-10=5, 25-15=10, 5-25=-20이므로 [5 10 -20]을 반환한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우리는 n 파라미터를 부여함으로써 이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2, 3, 4]의 경우, n = 2와의 이산차는 [2-1, 3-2, 4-3] = [1, 1, 1]이 될 것이고, 그러면 n = 2이기 때문에 새로운 결과로 한 번 더 하겠다: [1-1, 1-1] = [0, 0]
다음 배열의 이산 차분을 두 번 계산한다:
import numpy as np arr = np.array([10, 15, 25, 5]) print('arr : ', arr) newarr = np.diff(arr,n=2) print('newarr = np.diff(arr,n=2) : ', newarr) |
15-10=5, 25-15=10, 5-25=-20 AND 10-5=5, -20-10=-30 이므로 [5 -30]을 반환한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 numpy ufunc difference(이산차)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파이썬 numpy ufunc에서는 이산차를 위해 diff()함수를 제공하며 차수로 n 매개변수를 제공하며 실습하였다.
꼭 손으로 눈으로 머리로 익히며 실습하기를 바란다.
모두 화이팅입니다.!!!
출처 : 이 글의 출처는 w3schools사이트를 참고하였으며 필자가 추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파이썬 > 파이썬기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numpy ufunc 삼각함수 (1) | 2024.01.11 |
---|---|
파이썬 numpy ufunc 최소공배수 - LCM(Lowest Common Multiply) (0) | 2024.01.10 |
파이썬 numpy ufunc 배열의 곱(product) (1) | 2024.01.08 |
파이썬 numpy ufunc 합산(summation) (1) | 2024.01.07 |
파이썬 numpy ufunc 로그 - Log (1) | 2024.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