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파이썬기본문법

파이썬 Slicing string

by flycoding 2023. 9. 27.
반응형

파이썬 문자열 Slicing

slice 구문을 사용하여 문자 범위를 반환할 수 있다.

문자열의 일부를 반환하려면 시작 인덱스와 끝 인덱스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지정한다.

 

2번 위치에서 5번 위치로 문자 가져오기(포함되지 않음):

b = "안녕하세요? 철수씨?"
print(b[2:5])

문자열 "안녕하세요? 철수씨?"를 변수 b에 할당하였고, b[2:5]로 슬라이싱을 하면 2번, 3번, 4번 문자를 반환하여 "하세요"가 출력이 된다. [배열은 0번부터 시작함을 잊지말라!!!]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파이썬 문자열 슬라이싱 활용예제

 

파이썬 문자열 시작부터 슬라이싱

시작 인덱스를 제외하면 범위는 첫 번째 문자부터 시작된다:

b = "안녕하세요? 철수씨?"
print(b[:5])

문자열 "안녕하세요? 철수씨?"를 변수 b에 할당하였고, b[:5]로 슬라이싱을 하면 0번에서 시작하여 4번 문자까지를 반환하여 "하세요"가 출력이 된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파이썬 문자열 시작부터 슬라이싱 활용예제

 

파이썬 문자열 끝으로 슬라이싱

End index를 생략하면 범위가 끝까지 이동한

 

2번 위치에서 끝까지 캐릭터를 가져온다:

b = "안녕하세요? 철수씨?!"
print(b[2:])

문자열 "안녕하세요? 철수씨?"를 변수 b에 할당하였고, b[2:]로 슬라이싱을 하면 2번에서 시작하여 끝 문자까지를 반환하여 "하세요? 철수씨?!"가 출력이 된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파이썬 문자열 끝으로  슬라이싱 활용예제

 

문자열 음수 인덱싱

음의 인덱스를 사용하여 문자열 끝에서 슬라이스를 시작한다:

 

문자 가져오기:
시작위치: "43210"의 "o" (위치 -5)
끝위치(포함되지 않음): "432"(위치 -2):

b = "9876543210"
print(b[-5:-2])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파이썬 문자열 음수 인덱싱 슬라이싱 활용예제

 

지금까지 문자열 슬라이싱(slicing)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문자열에서 특정한 위치의 문자열을 반환할 때, 슬라이싱을 사용한다.

슬라이싱을 할 때, 배열을 사용하고 배열의 인덱스를 활용하여 슬라이싱을 한다.

문자열을 가지고 올 때, 시작과 끝을 지정할 수 있고, 시작을 생략하면 처음부터, 끝을 생략하면 끝까지 문자열을 가져온다.

문자열의 음수 인덱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고 꼭 실습을 통해 익히기를 바란다.

모두 화이팅입니다.!!!

 

출처 : 이 글의 출처는 w3schools사이트를 참고하였으며 필자가 추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반응형

'파이썬 > 파이썬기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문자열 연결(String Concatenation)  (0) 2023.09.29
파이썬 문자열 수정  (0) 2023.09.28
파이썬 문자열(string)  (0) 2023.09.26
파이썬 캐스팅(Python Casting)  (0) 2023.09.25
파이썬 데이터 유형  (0) 2023.09.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