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글로벌 변수
위의 모든 예에서와 같이 함수 외부에서 생성된 변수를 전역 변수라고 한다.
글로벌 변수는 기능 안에서나 외부에서나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함수 외부에 변수를 생성하여 함수 내부에 사용
x = "굉장해" def myfunc(): print("파이썬은 " + x) myfunc() |
함수 내부에 이름이 같은 변수를 생성하면 이 변수는 로컬 변수가 되며 함수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이름이 같은 글로벌 변수는 원래의 값과 글로벌 변수로 그대로 유지된다.
x변수는 myfunc()함수 외부에서 정의되었고, 현재 myfunc()함수 내에서 사용된다. 위의 예에서 x변수는 글로벌 변수이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함수 내부에 전역 변수와 동일한 이름의 변수 만들기
x = "굉장해" def myfunc(): x = "놀라워" print("파이썬은 " + x) myfunc() print("파이썬은 " + x) |
myfunc()함수가 실행이 되면 myfunc()함수 내의 x변수에 '놀라워'값이 할당이 되고 print()함수에 '파이썬은 놀라워'가 화면에 출력이 된다.
그리고 두번째 print()의 x변수는 글로벌 변수 x="굉장해"라는 값을 할당하였기에 "파이썬은 놀라워"가 화면에 출력이 된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global 키워드
일반적으로 함수 내부에 변수를 만들 때 해당 변수는 로컬이고 해당 함수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함수 내부에 전역 변수를 만들려면 전역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global 키워드를 사용하는 경우 변수는 전역 범위에 속한다:
def myfunc(): global x x = "놀라워" myfunc() print("파이썬은 " + x) |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함수 내부의 전역 변수를 변경하려면 global 키워드를 사용한다.
함수 내부의 전역 변수 값을 변경하려면 global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참조한다:
x = "굉장해" def myfunc(): global x x = "놀라워" myfunc() print("파이썬은 " + x) |
글로벌 변수 x에는 '굉장해' 값이 할당이 된다.
myfunc()함수가 실행이 될 때, x='놀라워'가 할당이 되는데 이 때 global x가 선언이 되었기 때문에 글로벌 변수 x에 '놀라워'가 저장이 되기 때문에 아래 그림과 같이 '파이썬은 놀라워'가 화면에 출력이 된다.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지금까지 파이썬 글로벌 변수에 대한 활용 그리고 지역변수와의 차이점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global 키워드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도 학습하였다.
꼭 손으로 눈으로 머리로 익히며 실습하기를 바란다.
모두 화이팅입니다.!!!
출처 : 이 글의 출처는 w3schools사이트를 참고하였으며 필자가 추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파이썬 > 파이썬기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데이터 유형 (0) | 2023.09.24 |
---|---|
파이썬 수 (0) | 2023.09.23 |
파이선 변수 출력 (0) | 2023.09.21 |
파이썬 튜플 - 루프(loop) (0) | 2023.09.20 |
파이썬 변수 - 여러 개 값 할당 (0) | 2023.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