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파이썬기본문법

파이선 튜플 - 항목 접근하기

by flycoding 2023. 10. 17.
반응형

파이썬 튜플 항목 접근하기

대괄호 안의 색인 번호를 참조하여 튜플 항목에 액세스할 수 있다:

a = ("사과", "바나나", "체리")
print("튜플 a : ", a)
print("a[1] : ", a[1])

위의 코드처럼 a[1]은 튜플 a에 두번째 항목 '바나나'를 접근하여 화면에 출력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파이썬 튜플 접근 활용 예제

 

파이썬 튜플 - 음수 인덱싱

마이너스 색인은 끝부터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1은 마지막 항목, -2는 두 번째 마지막 항목 등을 의미한다.

a = ("사과", "바나나", "체리")
print("튜플 a : ", a)
print("a[-1] : ", a[-1])

a[-1]은 오른쪽 끝에서 첫번째 즉 마지막에서 첫번째 항목으로 위의 예제에서는 '체리'가 될 것이며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파이썬 튜플 음수 인덱싱 활용 예제


파이썬 튜플 인덱스 범위

범위를 시작할 위치와 종료할 위치를 지정하여 인덱스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범위를 지정할 때 반환 값은 지정된 항목이 포함된 새 튜플이 된다.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항목을 반환한다:

a = ("바나나", "바나나", "체리", "오렌지", "키위", "멜론", "망고")
print(a)

print("a[2:5] : ", a[2:5])

a[2:5]는 튜플 a의세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항목을 접근하여 인쇄하는 코드로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파이썬 튜플 인덱스범위 활용 예제

 

시작 값을 제외하면 범위는 첫 번째 항목부터 시작된다:

a = ("바나나", "바나나", "체리", "오렌지", "키위", "멜론", "망고")
print(a)

print("a[:4] : ", a[:4])

a[:4]는 튜플 a의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 번째 항목을 접근하여 인쇄하는 코드로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파이썬 튜플 인덱스범위-시작값 생략 활용 예제

 

End 값을 생략하면 범위가 목록의 끝으로 넘어간다:

a = ("바나나", "바나나", "체리", "오렌지", "키위", "멜론", "망고")
print(a)

print("a[2:] : ", a[2:])

a[2:]는 튜플 a의 세번째 항목에서 끝 항목까지를 접근하여 화면에 아래 그림과 같이 출력이 된다.

파이썬 튜플 인덱스범위-끝값 생략 활용 예제

 

파이썬 튜플 음수 인덱스 범위

튜플 끝에서 검색을 시작하려면 음수 인덱스를 지정한다:

 

이 예제에서는 인덱스 -4(포함)에서 인덱스 -1(제외)로 항목을 반환한다

a = ("바나나", "바나나", "체리", "오렌지", "키위", "멜론", "망고")
print(a)

print("a[-4:-1] : ", a[-4:-1])

a[-4:-1] 은 튜플 a의 오른쪽 끝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항목까지 접근하여 항목을 반환하며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파이썬 튜플 음수 인덱스 범위 활용 예제

 

파이썬 튜플에서 항목이 존재하는지 검사

지정한 항목이 튜플에 있는지 확인하려면 in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a = ("사과", "바나나", "체리")
print("튜플 a : ", a)
if "사과" in a:
  print("네, '사과'가 튜플 a에 있습니다.")

튜플 a에 '사과' 항목이 있는지 in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사하여 존재하기 때문에 '네 사과가 튜플 a에 있습니다.' 가 화면에 출력이 된다.

파이썬 튜플 in 키워드 활용 예제

 

지금까지 파이썬 튜플의 항목을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대괄호를 통해 튜플 항목을 접근하며, 인덱스 번호의 양수와 음수일 때의 방법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꼭 손으로 눈으로 머리로 익히며 실습하기를 바란다.

모두 화이팅입니다.!!!

 

출처 : 이 글의 출처는 w3schools사이트를 참고하였으며 필자가 추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반응형

댓글